본문 바로가기
관련주 테마주

보안 관련주, SKT 유심 사태 이후 재평가

by 좋은 투자 & 트레이딩 2025. 6. 10.

SKT 유심 사태 이후…보안株의 재발견과 향후 대응 전략

최근 SK텔레콤의 유심 사태는 개인정보 유출을 넘어 통신 인프라 전반의 신뢰성을 흔들었습니다. 특히 가입자 인증키가 포함된 HSS 서버가 뚫리면서, 단순 보안 사고를 넘어 국가 안보와 연계된 중대한 사안으로 부상했습니다 

1. 사건의 심각성과 향후 발생 가능성

  • BPFDoor 악성코드를 이용해 HSS 서버를 침투, 복제 유심, SMS 가로채기 등 2차 범죄에 노출될 수 있었습니다 
  • 이 사태는 통신사 중심의 인증 기반이 뚫렸다는 점에서 다른 통신사와 금융·공공망 전반으로 유사 사고가 확산될 위험성을 내포합니다
  • 방식을 감안할 때, 향후 다양한 공격 유형이 반복될 가능성이 큽니다 

2. 단기 시장 반응과 주요 수혜 종목

  • 해당 뉴스 이후 보안기업 주가가 급등했습니다. 예를 들어 한싹(+30%), 모니터랩(+27%), 샌즈랩(+14~22%), 아톤(+12.7%), 드림시큐리티(+10.9%) 등이 강세를 보였습니다
  • 유심 공급 관련 기업인 엑스큐어, 유비벨록스, 코나아이에도 관심이 집중됐는데, 엑스큐어는 공급 1위이자 보안 솔루션 확장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정부와 통신당국이 불법 스팸·피싱 대응 민관협의체를 가동하고 보안 점검을 강화하면서 보안 소프트웨어 수요가 늘어날 조짐입니다 

3. 장기적으로 주목해야 할 보안주

  • 모니터랩 – 네트워크 보안·딥페이크 방지 솔루션 강세, AI 기반 위협 탐지 기능을 다수 보유
  • 샌즈랩 – 양자암호·API 보안·클라우드 보안 기술 개발, MS 협력 경험 등 기술력이 강점 
  • 아톤 – 모바일 OTP·금융보안, 유심 복제 대응 솔루션으로 금융사 수요 동반 가능성 있음
  • 드림시큐리티 – 기업용 인증·공공기관 중심의 보안 소프트웨어, 정보보안 대책 강화 수혜 예상
  • 엑스큐어·유비벨록스·코나아이 – 유심, 스마트 카드 및 인증 플랫폼을 공급하며 보안 업그레이드 테마에 포함됩니다 

4. 투자 유의사항

  1. 보안주는 뉴스·공격 발생 시 단기 급등할 수 있지만, 이후 실적 기반의 지속 수익 증가로 이어지는지는 별개입니다.
  2. 대응 비용·소프트웨어 개발비 증가 등 투자 부담도 존재합니다.
  3. 유심 공급주는 eSIM 전환 시 장기 수요 감소 우려가 있으므로 신사업 다변화 여부가 중요합니다 

5. 향후 전략 및 전망

  • 단기 대응: 보안규제 강화, 정부 정책 발표시 보안주 모멘텀 활용 가능
  • 중장기 대응: AI 기반 탐지·양자암호·클라우드 보안 등 실제품 매출로 이어지는 기업 선별
  • 유심 관련 종목은 eSIM 정책 대응과 핀테크, 인증 분야 진출 여부가 핵심
  • 통신사·금융권·공공망 협업 실적이 있는 기업 중심으로 파트너십 역량을 면밀히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맺음말

SKT 해킹 사태는 통신 인프라와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신뢰 위기로 이어졌으며, 보안 기업들에게는 사업 확장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단기 테마 외에도 기술 경쟁력, 제품 상용화, 불확실성 관리 역량 등이 중요하며, 정부·민간의 협업 수준과 정책 집행력 역시 주요 변수입니다. 투자자는 급등락에 휘둘리지 않고, 실질 매출 연결 여부를 중심으로 기업을 선별해야 합니다.

※ 본 글은 정보 제공을 위한 것이며, 투자 판단은 본인 책임 하에 신중히 진행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