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LG전자와 협력 중인 상장 AI 소프트웨어 종목 분석 및 투자 전략
🔍 이슈 개요
LG전자는 AI 기반 플랫폼 강화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 2025년 CES에서 Microsoft와 ‘AI 홈 허브’ 협력을 발표하며 Copilot 탑재 계획 공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AI안전연구소와 ‘책임 있는 AI’ 협약 체결(6월 2일)
- 온디바이스AI 챌린지 선정 기업과 기술 검증을 위한 PoC 진행
- AI 인프라 분야에서는 LG CNS가 Dell과 ‘델 AI 팩토리’ 사업 협업
이처럼 LG전자는 AI 안정성과 플랫폼 확장, 인프라 구축까지 전방위적인 AI 전략을 펼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자회사 및 협력 상장사에 새로운 투자 기회가 열리고 있습니다.
🏆 LG전자 연계 AI 소프트웨어 상장 종목
- LG전자 (코스피) – Copilot 탑재 AI 홈 허브, ThinQ 기반 AI 플랫폼 중심
- LG CNS (코스피) – Dell ‘AI 팩토리’ 협업, AI 인프라 및 SW 플랫폼 확장
- 업스테이지 (코스닥 상장 검토 중) – LG전자와 온디바이스AI 기반 협업 MOU 체결
- 클리카, 감바랩스, 프레리스쿠너 – 온디바이스AI 챌린지 선정 스타트업, LG 노트북 그램 PoC 추진 중
💡 종목별 투자 포인트
- LG전자 – Copilot 연계 AI 홈 허브 '씽큐 온' 공급 확장, 책임 있는 AI 구현 등 전방위 전략 추진
- LG CNS – AI 인프라 고도화 사업 확대, ‘델 AI 팩토리’ 채널을 통한 글로벌 AI 수요 흡수 가능
- 업스테이지 – MOU 체결로 온디바이스AI 솔라 모델 그램 탑재 추진(2024년 2월)1, 시장에서 기술 파급 기대
- 클리카·감바랩스·프레리스쿠너 – 중기부·LG 주도 챌린지 통해 노트북 PoC 선정, 기술 검증 단계 진입
📈 투자 전략 및 중장기 전망
- 단기 전략
- Copilot 발표·협업 소식 기반 단기 테마 수급 스윙 대응
- 업스테이지 그램 탑재 결과 공시 시 단기 모멘텀 활용 가능
- LG CNS·Dell MOU 내용 발굴 → AI 인프라株 테마 스윙 대응
- 중장기 전략
- AI 홈 플랫폼 ‘씽큐’의 Copilot 실장 확대 → 구독 플랫폼 강화 기대
- 온디바이스AI 탑재 확대 시 업스테이지·스타트업 PoC 안정화 기대
- LG CNS AI 인프라 구축 → 글로벌 공공·엔터프라이즈 시장 진출 가속화
- 분산 전략: LG전자·LG CNS(플랫폼·인프라) + 업스테이지·PoC 스타트업(온디바이스AI 기술) 혼합 포트폴리오 구성 권장
⚠️ 리스크 요인
- 기술 상용화 지연 위험: PoC 단계인 스타트업 협력은 시간 소요 가능성
- 규제 환경: AI 윤리 및 책임 AI 정책 강화 → R&D 대비 부담 증가 가능
- 대형 플랫폼 경쟁: Google·Amazon·Alibaba 등 글로벌 AI 경쟁 격화
- 기술 채택 속도: 소비자·B2B 시장의 Copilot 탑재 및 생태계 확장 속도
🎧 오늘의 트레이딩 BGM 추천
장중 집중과 안정된 트레이딩을 위한 BGM입니다.
🏁 결론
LG전자는 AI 플랫폼·인프라·안전성 구성요소를 모두 강화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키우고 있습니다. 이 전략의 수혜 구조는 ‘플랫폼 중심(LG전자) + 인프라 확장(LG CNS) + 온디바이스AI 기술(업스테이지, 챌린지 스타트업)’으로 명확합니다. 투자자는 협력 실적 기반 종목들을 분산 매수하고, 재료 공시 시 스윙 전략을 섞어 대응하면 효과적인 투자 접근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1 업스테이지는 2024년 2월 노트북 ‘그램’에 온디바이스AI 경량 언어모델을 적용하기 위한 협업 MOU 체결 보도
'관련주 테마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결제 관련주, 스테이블코인이 도입으로 새로운 모멘텀이 생길까? (4) | 2025.06.18 |
---|---|
삼성전자와 함께 하는 AI 소프트웨어 종목은? (0) | 2025.06.18 |
GPU, NPU 관련주, AI 인프라 구축의 첫 관건 : GPU,NPU 확보 (1) | 2025.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