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관련주 테마주

지역화폐 관련주, 이제는 더 이상 테마가 아니라 현실로 다가온 지역화폐사업... 관련주는?

by 좋은 투자 & 트레이딩 2025. 6. 14.

지역화폐 정책 본격 추진, 실질 수혜 예상 상장사 총정리

새 정부가 ‘전국민 25만원 지역화폐 지급’ 계획을 공식화했습니다: 지자체와 협력해 대규모 지역화폐 발행이 정책 수단으로 현실화될 경우, 단순 테마주를 넘어 **실효성 있는 수혜 상장사**들이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관련 정책 방향, 기대 효과, 그리고 **실질 수혜가 가능할 상장사를 중심**으로 심층 분석합니다.

1. 정책 배경과 추진 전망

2025년 새 정부는 △지역 경제 활성화 △내수 진작 △소상공인 지원을 목표로, 국비 포함 전국민 대상 지역화폐 확대 방안을 국회 추경에 반영할 예정입니다. 지금까지 지역화폐 관련주는 **단기 테마주** 성격이 강했으나, 이번 정책은 정책이 → 예산 집행 → 인프라 구축 → 서비스 확대의 구조적 흐름이 예상되는 **정책 패키지**로 예상됩니다.

2. 지역화폐가 가져오는 구조적 효과

  • 소상공인 직접 수혜: 지역 내 소비가 늘어나며 카드·모바일 결제 플랫폼, POS 장비 연계 기업에 소비량 증가 요인
  • 핀테크 인프라 확충: 지역화폐 유통 및 정산 시스템 구축 → 핀테크 플랫폼 기업 중심 거래량 증가
  • 데이터 경제의 확대: 소비 데이터 분석, 마케팅 데이터 서비스 기업 부각
  • 금융 인프라와의 접목: 은행·증권사 연계 충전, 환급, 결산업무 연동으로 관련 금융회사의 이익 증가

3. 단순 테마 아닌 ‘실질 수혜’ 상장사 리스트

① 코나아이 (Kona i, 045660)

  • 국내 지역화폐 전통 운영자. 경기도·전라권 등 다수 지자체와 계약 유지 중
  • 충전·결제·정산 서비스 제공 → 정책 확대 시 수혜 반영 가능

전략 포인트: 전국 단위 지역화폐 유통 증가 시 손익 구조 개선 견인.

② 웹케시 & 쿠콘 (각각 053580, 294570)

  • 지역화폐 인증·결제 시스템 협업 → 쿠콘은 ‘9.7조 원 규모 지역화폐 사업 운영’ 계약체결
  • API 기반 핀테크 솔루션 본격 확장

전략 포인트: 핀테크·B2B 플랫폼 실사용 데이터 기반 매출 지속 확대 기대.

③ 헥토파이낸셜, 갤럭시아머니트리 (코스닥 핀테크)

  • 지역화폐 할인·충전 제공업체 → 상한가 급등세 기록
  • 정책 기대에 따른 수요 증가 ↔ 실사용률 관건

전략 포인트: 사용자 기반 확대 시 실적 반영 가능.

④ KTM뱅크 계열 금융사 — 하나은행, 농협, 지역신협

  • 충전·정산 업무 중계 가능성 있음
  • 지자체 포인트 환불·정산 기능 포함

전략 포인트: 금융사 B2G(공공기관) 연계 서비스 매출 증가。

⑤ 휴네시온, 인프라 장비사

  • 지역 중계기·결제 단말기 등 하드웨어 공급사
  • 정책 추진 지역의 스마트 결제 기반 조성 시 공급 증가

전략 포인트: 지역 인프라 조성자 중심 설비비 수혜 가능.

⑥ 데이터 및 마케팅 분석 기업 — 엔텔스, 아이지에이웍스

  • 지역화폐 소비 데이터 분석, 지역 맞춤형 마케팅 지원
  • 정책 효과 모니터링 위해 지자체에 데이터 제공 가능

전략 포인트: 데이터사업 확대 수익화 기대.

4. 종목별 정리 및 전략 요약

종목 수혜 방식 전략 포인트
코나아이 운영·정산 정책 확대시 수익 반영 가시화
웹케시·쿠콘 핀테크 연계 플랫폼 이용 증가시 실적 성장 가능
헥토·갤럭시아 등 결제처리 기초 사용자 기반 확대 시 수익성 전이
하나은행 등 금융사 환전·정산 B2G 연계 매출 기회 커짐
휴네시온 등 결제 단말기 정책 인프라 라인 공급 증가 기대
엔텔스·아이지에이웍스 데이터 분석 지역 마케팅 분석 시장 확대

5. 리스크 요소

  • 정책 집행 지연·예산 축소 가능성
  • 지자체별 시스템 호환 문제로 인한 일정 지연
  • 단순 전망에 따른 테마 과열 이후 반작용 위험

➤ 실질 수혜는 ‘정책 집행 → 실사용 증가 → 관련사 매출 체감’이라는 순차 반영이 필요합니다.

6. 결론

지역화폐 정책은 테마주가 아닌 **정책 기반 플랫폼 성장 기회**로 진화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코나아이, 웹케시·쿠콘** 등 핀테크 기반 기업들과 **금융사, 인프라 및 데이터 기업**은 정책 실행에 따른 실질적 수혜가 예상됩니다.

다만 정책 집행과 실사용 결과가 모니터링 되어야 하며, 실행 시점 대비 주가 흐름을 면밀히 주시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 본 글은 정보 제공용입니다. 투자 판단은 본인 책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