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시장 흐름 살피기

주간 시황 정리 : 6월 마지막주 조정 나왔던 한국 주식 시장 디테일 살펴보기

by 좋은 투자 & 트레이딩 2025. 6. 29.

 

1. 주간 시장 흐름 요약

  • 코스피 지수는 전주 대비 +34.10포인트(+1.13%) 상승하여 3,055.94로 마감
  • 코스닥은 –1.26% 하락한 781.56로 조정 
  • 외국인: 유가증권시장 약 8,918억 원 순매도 • 코스닥 약 3,646억 원 순매도 
  • 기관·개인: 유가증권시장·코스닥 모두 순매수로 수급 일부 상쇄 :
  • NH투자증권 "30조 규모 2차 추경 및 상법 개정 기대" 등 정책 모멘텀이 증시의 밑받침 역할 
  • 시장 해석: 과열 피로감 속 차익 실현 진행 중, 정책·외국인 수급 확인 후 반등 여지 존재

2. 주요 업종 이슈

  • 반도체·AI: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급등 및 금리 인하 기대에 반도체 업종 전반 상승 
  • 원전·해체: SMR, CCUS 확대 기대감 및 고리 1호기 해체 승인 등으로 관련주 강세 지속
  • 스테이블코인·STO: 제도화 기대와 예탁원 테스트베드 소식 영향으로 변동성 확대 
  • 정유·물류·방산: 중동 지정학 리스크 완화에 따른 관련 업종 수급 집중 
  • 바이오/신약: 고형암 항체 기술이전, CAR‑T 임상 등 모멘텀 지속적 강세

3. 외인·기관·개인 수급 변화

금주는 외국인이 주도한 순매도와 개인·기관의 매수로 균형 흐름이 유지됐습니다. KB증권은 “조정 시 매수 전략 유효”로 전망 

4. 시사점 및 투자 전략

  1. 코스피 3,050~3,130선 유지 여부가 단기 방향키 역할.
  2. 정책 테마 중심 종목 (유통·AI·바이오·지주·증권 등) 선별적 접근 권장 
  3. 차익실현 압력이 지속 중인 IT·소비 업종: 기술적 반등 가능성과 펀더멘털 평가 필요.
  4. 조정 시 과열 구간에서 대표 대형주 스윙 매수 기회 모색.
  5. 리스크 요인: 글로벌 금리·관세·정책 불확실성 상존하는 가운데, 정책이 시행으로 전환될 시 유입 자금 기대.

5. 향후 주목 포인트

  • 미국 제조업 PMI, 고용지표 등 글로벌 매크로 이벤트
  • 국내 2차 추경·상법 개정 처리 여부
  •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추이 및 AI 서버 투자 모멘텀
  • 중동 리스크 전개 방향 및 정책 관련주 수급 반응

6. 결론 📌

이번 주는 외국인 차익실현에 따른 조정국면 진입이 특징입니다. 그러나 정책 기대 및 일부 업종 수급은 견고하여, 단기 조정 시 **중립적 대응 + 종목 장벽 분석**이 유효합니다. 중장기적으로는 정책 본격화 및 외국인 수급 회복에 따라 **안정적 바닥 다지기**로 전환 가능성이 있습니다.

※ 본 글은 투자 참고용으로 작성되었으며, 모든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