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관련주 테마주

비대면 진료, 원격 의료 관련주, 다시 주목해야하는 이유는?

by 좋은 투자 & 트레이딩 2025. 6. 11.

비대면 진료 확대, 지금 왜 주목받고 있나?

비대면 진료는 스마트폰, PC 등 원격 통신을 활용해 환자가 의료기관을 방문하지 않고 진료와 처방을 받을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 2022년 야간·주말 초진 허용을 시작으로, 2024년에는 상급종합병원까지 확대되면서 관련 시장이 본격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수도권 외곽, 의료 사각지대, 맞벌이 가정, 야간 진료 수요가 증가하며 월평균 비대면 진료 건수는 급증하고 있습니다. 일부 종합병원의 경우 월 10건 수준이었던 비대면 진료가 1,000건 이상으로 폭증했으며, 전체 시장은 2025년부터 2033년까지 연평균 12%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비대면 진료가 확대되는 이유

  • 의료 접근성 개선: 농어촌, 외곽 지역 환자들의 진료 기회 확대
  • 맞벌이·야간 근무 증가로 시간대 제한 해소
  • 의료비 절감 및 대기시간 단축 등 비용 효율성 강화
  • AI 진단·빅데이터 활용으로 원격 진단 정확도 향상

비대면 진료 관련 주요 종목 정리

플랫폼·병원 연계 기업

  • 인성정보: 비대면 영상 진료 시스템 공급
  • 유비케어: 병원 예약·비대면 진료 플랫폼 운영
  • 케어랩스: 굿닥 플랫폼 운영, CRM·처방 연동 지원
  • 이지케어텍: 병원정보시스템(HIS) 기반 원격 진료 특허 보유
  • 토마토시스템: 미국 응급 원격의료센터 운영
  • 라이프시맨틱스: 닥터콜 플랫폼 운영, 상급병원과 연계 가능

의료 AI·기기 관련 기업

  • 제이엘케이: 뇌 질환 AI 진단 및 원격진료 솔루션
  • 비트컴퓨터: 병원정보시스템 기반 원격 진료 지원
  • 소프트센: 클라우드 기반 의료정보 플랫폼

원격통신 인프라

  • 알서포트: 화상회의·원격진료 부스 서비스 제공

바이오 진단 및 기반 기술

  • 나노엔텍: 초음파 기반 원격진료 센서 기술 보유
  • 블루엠텍, 메디포스트: U-헬스케어 관련 테마 수혜

투자 전략

  • 단기: 정책 확정과 시범사업 확대에 따른 실적 기대
  • 중기: 보험 적용 확대, 약 배송 허용 등 제도 변화에 주목
  • 장기: 전국 의료기관 확산, AI·빅데이터와 결합 시 성장 여력 확대

투자 리스크 요인

  • 의료계 반발과 법적 책임 소지 불명확
  • 개인정보 보호 및 의료 안전 문제
  • 법제화 지연 시 주가 선반영에 따른 조정 위험

맺음말

비대면 진료는 더 이상 미래가 아닌 현실로 자리잡아가고 있습니다. 정부의 제도 정비가 속도를 내면서 관련 기업들의 성장 기대감이 확대되고 있으며, 특히 인성정보, 유비케어, 케어랩스, 알서포트 등은 직접적 수혜가 예상됩니다. 다만 제도적 불확실성과 의료계 이슈 등을 감안해 중장기적 관점에서 분산투자가 바람직합니다.

※ 본 글은 투자 권유 목적이 아니며,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입니다.